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외계 행성의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대기 성분까지 분석 가능해졌다. 항성 표면 통과 분광법을 통해 과학자들은 외계 행성 대기를 분석하며, 지구와 유사한 환경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K2-18b는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위치한 미니해왕성으로, 지표면과 표면에 물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또한 태양계를 축소해 놓은 듯한 트라피스트-1 행성계 중 일부는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연 우주에 우리와 다른 생명체가 존재할까? 과학자들의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그 가능성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