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는 약속을 지켜선 안 된다’, ‘군주는 공포의 대상의 되어야 한다’, ‘관대한 군주보다 인색한 군주가 낫다’ 마키아벨리가 에서 주장한 군주의 미덕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물론 당대의 많은 정치학자들도 쉽게 동의하지 못하는 내용들이 많다. 마키아벨리는 왜 ‘거짓말’, ‘공포 정치’, ‘인색함’처럼 도덕과 동떨어진 요소들을 군주의 덕목으로 정리한 것일까? 마키아벨리 연구로 세계적 명성을 얻은 퀜틴 스키너 교수의 설명이 그동안 잘 보이지 않았던 의 행간을 읽을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